민주평통, 쿠바 한인후손들과 광복절 제78주년 경축행사 개최
박래곤 협의회장, “선조들의 희생과 노력을 기억하고 대한민국의 발전을 응원해 달라” 당부
그 동안의 노력으로 쿠바 후손들도 한국인의 정체성을 찾아가고 있어
민주평통 중미,카리브협의회(협의회장 박래곤)는 쿠바 바라데로(Varadero)에서 제78주년 광복절 경축행사를 개최했다. 민주평통 중미 카리브협의회에서 공유한 내용에 따르면, 지난 12일에 있었던 제78주년 광복절 경축행사는 지난해 개최했던 장소 아바나(Havana)에 이어 장소를 옮겨 바라데로(Varadero)의 센트로 크리스티아노 레플렉시온 이 디알로고 (Centro Cristiano Reflexión y Dialogo)에서 개최됐다고 전했다.
바라데로는 아바나에서 동쪽으로 130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마탄사스(Matanzas)지방 이카코스(Hicacos) 반도의 카르데나스(Cardenas)시 북서쪽에 있는 도시이다.
행사에는 미주 지역 13명 협의회장, 간사, 직지홍보대사와 홍보팀이 참석했고 안토니오 김 쿠바 한인후손회장과 아델라이다 장 카르데나스 지역 후손회장이 함께하여 자리를 빛냈다. 또한, 쿠바의 한인 후손들과 바라데로 한글학교 교사와 학생 등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정호현 쿠바분회장과 한인 후손 카티아 (Katia)의 진행으로 시작됐다.
박래곤 중미카리브협의회장은 개회사에서 “국가가 힘이 없던 시절 여러분의 할아버지, 할머니의 공적을 찾고, 국가가 힘이 있는 지금 그 희생의 대가를 자손들에게라도 고마움을 전하고자 한다”는 국가 보훈부의 이야기를 전하며, “선조들의 희생과 노력을 기억하고 대한민국의 발전을 응원해달라”고 말했다.
미주지역 부의장 직무대행을 맡고 있는 박요한 휴스턴 협의회장은 “102년 전 일제 강점기에 독립자금을 모아 전달했던 쿠바 이민자들의 희생을 기억한다”며, “그간 한국은 그 분들의 희생에 힘입어 경제적으로 성장하고 민주화를 이룩하며 국제 사회에서 위상을 높이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남북평화 뿐 아니라 더 나은 미래를 향한 꿈을 꾸게 됐다”고 축사를 통해 소감을 밝혔다.
이어서 ‘쿠바의 한인후손’의 저자 마르타 임의 책자 소개가 있었다. 이 책은 한인 후손들에게 한국의 역사와 문화 등을 알리기 위하여 한국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이 날 경축행사에서 민주평통 중미카리브협의회는 준비한 문구, 모자, 양말, 의류, 식품 등 5천달러 상당의 물품을 아델라이다 장 카르데나스 한인후손회장에게 전달했다. 이어 카르데나스 한글학교 학생들이 준비한 민속무용, K-pop, 피리 연주 등의 공연이 이어져 참석자들의 열화와 같은 박수를 이끌어냈다. 미주 구은희 상임위원은 직지 홍보대사로서, 행사 말미에 직지 체험 부스를 열어 참가자들에게 직지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기도 했다.
이번 광복절 경축식에는 작년 쿠바 방문으로 미국 비자가 취소된 다수의 중미카리브협의회 자문위원들이 참석하지 못한 상황에서 미국, 캐나다, 브라질과 중미카리브협의회 등 13명의 협의회장 등이 참석하여 행사에 힘을 보탰다. 또한 이 행사는 미주지역회의 마지막 운영위원회가 개최되는 뜻깊은 자리였다.
지난해에 이어 참석한 박요한 휴스턴 협의회장과 함께 참석한 다수의 미주 지역 협의회장들은 비가 내리고 무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쿠바에 거주하는 한인 후손들을 만난 행사에 열정적으로 참여하고 환호하며 박수를 보냈다. 그 간 잘 알지 못했던 멕시코와 쿠바의 한인 이민사를 알게 됐으며, 그 후손들을 만난 것을 매우 감격스러워했다. 또한 아바나에 있는 쿠바 한국문화센터 및 한글학교를 방문하여 미국 지역 각 협의회에서 마련해 온 문구와 식품 등 약 5천달러 상당의 물품을 전달했다.
끝으로 아리랑을 단체로 합창하며 광복절 제78주년 기념식을 마치고, 쿠바 문윤미 자문위원과 학생들이 준비한 한국 음식을 나누는 것으로 모든 공식 행사를 마쳤다. 이후 자리를 옮겨 미주 지역 협의회장들은 운영위원회를 열고, 마지막 소회를 나눴다.
한편, 쿠바 한인사회는 멕시코 한인사회에서 파생됐다고 볼 수 있다. 1905년 멕시코 유카탄 반도에 도착한 한인 1,000여명 중 약 300명은 더 나은 삶을 찾기 위해 1921년 3월 25일 쿠바의 마나티(Manati)항구에 도착하면서 쿠바 한인이민역사가 시작됐다. 이들은 자발적 계약노동자로 쿠바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을 시작했다.
그 후 한인들은 점차 마탄사스(Matanzas), 카르데나스(Cardenas), 아바나 (Habana) 등지에 정착했고, 정착한 곳마다 대한인국민회 지방회를 설립하여 한인의 권익 보호와 신분 보장을 꾀하는 한편 민족 정체성 확립을 위한 민족 교육 실시와 독립운동 지원 등을 전개해 나갔다.
쿠바는 1959년 카스트로의 사회주의 혁명 이후 남한 대신 1960년 8월 29일 북한과 수교하고, 더 나아가 미국과 1961년 단교했다. 따라서 쿠바 한인사회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함께 했던 미국과 멕시코의 한인사회는 물론 우리 한국과도 자연스럽게 멀어졌다. 이로 인해 현재 쿠바 한인 후손은 1,000여명으로 집계되고 있으나, 순수 한인 혈통은 약 7%에 불과하다고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한류의 확산, 국가보훈부의 독립유공자 예우보상, 멕시코와 미주 교민들의 노력 등으로 쿠바 후손들은 점차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