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UREDLatestNews한인사회 동정

박래곤 민주평통 중미카리브 협의회장, “쿠바와의 수교로 경제, 문화, 체육 등 양국의 더 활발한 교류 기대”

한국정부, 20년간의 노력 끝에 쿠바와 외교관계 성과 이뤄

대한민국 외교부는 한국과 쿠바가 지난 14일 미국 뉴욕에서 양국 주 유엔대표부 간 외교 공한 교환을 통해 양국간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쿠바는 우리나라의 193번째 수교국이 되며, 유엔 회원국 중 남은 미수교국은 시리아 한 개 국가밖에 없게된다.

중남미 카리브 지역 국가 중 유일한 미수교국였던 쿠바와의 외교관계 수립은 우리의 대중남미 외교 강화를 위한 중요한 전환점으로서, 글로벌 중추국가로서 우리의 외교지평을 더욱 확장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한-쿠바 수교는 양국간 경제협력 확대 및 우리 기업 진출 지원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양국 실질협력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쿠바를 방문하는 우리 국민들에게 대한 체계적인 영사조력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실 한국과 미수교국 상태에서도 많은 한국 관광객들이 쿠바를 방문했으며, TV 예능프로그램 등에서도 쿠바여행을 다루기도 했다. 코로나 이전까지 연간 약 1만 4천명의 우리 국민들이 쿠바를 방문했고, 1921년 일제강점기 멕시코에서 쿠바로 이주하여 거주하고 있는 한인 후손들은 1,100여명에 이른다.  

이미 한-쿠바 교역규모는 2022년 기준으로 수출 1천 4백만달러, 수입 7백만달러에 이르고 있었다. 그간 양국은 문화, 인적교류, 개발협력 등 비정치 분야를 중심으로 교류, 협력을 확대해 온 바, 특히 최근 활발한 문화교류를 통한 양 국민간 우호인식 확산이 이번 양국간 수교에도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쿠바에서 운영되고 있는 현지 한류 팬클럽 ‘ArtCor’는 규모가 약 1만명에 이르며, 쿠바 영화제 개최(‘22.7월, 서울), 아바나 국제영화제 계기 한국영화 특별전 개최(’23.12월, 아바나)등이 그 예라고 볼 수 있다.

우리 정부는 향후 쿠바 정부와 상호 상주공관 개설 등 수교 후속조치를 적극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그러나 우려의 시선도 적지 않다. 쿠바는 북한과 1960년 외교 관계를 수립한 오랜 우방이어서, 수교가 미칠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번 수교가 쿠바와 북한과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예단하기 어렵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쿠바는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직후 한국과 공식 외교관계를 맺었다. 당시 쿠바는 친미국가여서 1950년 한국전쟁때 바티스타 정부가 UN의 한국지원에 적극 동참하여 27만 달러의 물자원조를 보내주는 등 남한과 우호적인 나라였다.

하지만 쿠바 혁명으로 피델 카스트로가 집권한 뒤인 1960년 북한과 국교를 맺으면서 한국과의 관계를 단절했다. 그 뒤론 쿠바는 북한의 형제국으로 불리기도 했다. 2018년에도 미겔 디아스카넬 당시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이 방북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회담하는 등 양쪽이 돈독한 관계를 이어왔다.

약 20년동안 대한민국 정부는 쿠바와의 수교를 위해 공을 들여왔다. 2000년 김대중 정부때부터 수교를 제안했고, 2008년 이명박 정부 시절에도 영사 관계 수립을 제안한 바 있다. 2016년 윤병세 당시 외교부 장관이 외무장관으로는 처음으로 쿠바를 방문하는 등 쿠바와 수교관계를 맺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다.  윤석열 정부 들어 2023년 5월 박진 당시 외교부 장관이 과테말라에서 열린 국제회의에서 쿠바의 외무부 차관을 만나 수교를 제안했다.

한-쿠바 수교와 관련하여 박래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중미카리브협의회장은 “쿠바는 그동안 중미카리브협의회에 속한 유일한 미수교를 국가였다”라면서 “2021년에 건립된 쿠바 한국문화센터 운영에 있어서 그간 쿠바에 송금 및 임차비 지급이 무척이나 힘들었는데, 이제 이 부분이 해결되고, 아울러 메리다에 있는 한인후손 문화원처럼 한인후손들이 정부지원금이나 단체의 기부금을 통한 운영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박 협의회장은 그러면서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쿠바에 조만간 대사관이 상주하게 되고, 정부에서 문화원 건립과 운영을 추진하게 된다면 쿠바 한인문화센터를 국가에서 흡수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며, 양국간 경제, 문화, 체육 등 모든 부문에서 활발한 교류가 있기를 바란다”고 입장을 밝혔다.

다음은 박래곤 협의회장의 한국-쿠바 수교 관련 입장문이다.

안녕하세요!

아침에 수교 소식을 듣고 굉장히 기뻤습니다. 아시다시피 쿠바는 중남미에 속한 유엔 가입국 중 외교관계가 없는 유일한 나라였기 때문입니다.

특히 쿠바는 우리 협의회에 속한 지역이지만 미수교 국가로 우리 한인후손들이 약 1,100여명이 살고 있는 곳입니다. 이 분들은 일제 강점기에 독립자금을 모금하여 상해 임시정부에 보낸 분들의 후손이니 어쩌면 모든 분들이 잠재적인 독립유공자의 후손들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16개 국가로 구성된 우리 민주평통 중미카리브협의회는 1959년 쿠바의 혁명으로 외교관계가 단절되어 국가로 부터 정당한 혜택을 받지 못하고 살아왔음을 알고 그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힘이 되기 위해 2013년 쿠바 한인후손 문화원을 건립해주었고, 2021년에는 쿠바 한국문화센터로 격상시켜 한글교육 및 한국문화를 전파하고 있습니다. 현재도 민주평통은 매년 8월 쿠바에서 광복절 경축행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난 10년간 쿠바에서 외국인이 토지를 구매하지 못하므로 임차비(3,000불/월)를 민주평통 중미카리브협의회와 재외동포재단이 각각 50%씩 주멕시코 대사관의 도움으로 지원하였습니다. 그동안 미수교 국가에 송금 및 임차비 지급이 무척이나 힘들었는데 이제는 이 부분이 해결되고, 아울러 메리다에 있는 한인후손 문화원처럼 한인후손들이 정부지원금이나 단체의 기부금을 통한 운영도 가능하리라 예상해봅니다.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쿠바에 조만간 대사관이 상주하게 되고, 정부에서 문화원 건립과 운영을 추진하게 된다면 쿠바 한인문화센터를 국가에서 흡수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마중물 역할을 하겠습니다.

한국-쿠바 수교를 진심으로 축하하며, 경제 문화 체육 등 모든 부분에서 활발한 교류가 있기를 기대합니다.